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신체의 각 조직으로 운반하고, 반대로 조직에서 생겨난 노폐물을 폐 또는 신장으로 운반하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심장, 동맥, 모세혈관, 정맥, 림프계통이 순환계통에 속한다.
(1) 혈액의 기능
① 운반기능 → 혈액이 순환하면서 산소, 이산화탄소, 호르몬, 기타성분을 운반
② 배출기능 → 조직에서 생겨난 노폐물을 폐, 신장으로 운반하여 배출
③ 체액, pH 조절(7.35~7.45), 체온조절 → 항상성 유지
④ 면역, 항체, 식균작용 → 생체 보호
⑤ 혈액응고 작용 → 체액의 다량 손실 방지
(2) 혈액의 성분
인체를 순환하고 있는 혈액의 총량은 체중의 약 1/13(7~8%)에 해당하는 4~6L가량이며 혈액의 산도(pH)는 7.35~7.45(약알칼리성)이다. 혈액은 액체 성분인 혈장이 약 55%, 고형 성분인 혈구가 45%로 구성되어 있다. * 혈액 - 1/3소실 (생명위험), 1/2소실(사망)
① 혈구(고형성분. 45%)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 적혈구(RBC)
· 산소운반작용(정상치 400~500만개/mm³)
· 수명 120일, 혈색소(Hb)함유, 핵이 없음 * 철을 함유한 붉은색의 혈색소가 있기 때문에 혈액이 붉게 보임.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전신으로 운반해준다.
· 골수에서 생성.
· 수명을 다한 적혈구는 골수, 비장, 간에서 파괴됨
㉡ 백혈구(WBC)
· 핵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크다.
· 백혈구는 체내에 들어온 세균을 처리하는 식균작용 → 우리 몸을 병원균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로 백혈구의 증가는 감염됨을 의미
· 과립백혈구 : 호산구, 호중구(백혈구 중 가장 많음), 호염구
· 무과립백혈구 : 림프구, 단핵구
㉢ 혈소판
· 혈액응고에 관여 *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인자 - 혈소판, 피브리노겐, 칼슘, 비타민 K, 혈액응고인자 등
② 혈장(액체성분. 45%) : 투명한 연황색 액체. 물 92%, 단백질 7%, 기타 1%(무기염류, 당분, 아미노산, 지방, 호르몬, 가스 등)
㉠ 혈장 단백질
· 알부민 :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정상적인 혈액량을 유지하게 함
· α와 β-글로불린 : 지방운반 작용
· γ-글로불린 : 항체로서의 역할
· 피브리노겐 : 혈액응고에 관여
* 혈청 : 혈장에서 피브리노겐을 빼낸 것
* 혈액응고 과정 : 프로트롬빈이 간에서 비타민 K가 있을 때 생성되어 칼슘이온을 만나 트롬빈으로 바뀌어 섬유소원(피브리노겐)을 섬유소(피브린)로 전환시켜 섬유소 그물이 적혈구와 혈소판을 붙잡아서 혈병을 형성한다.
* 혈액응고 과정 중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지혈하는 촉매 역할하는 무기질 : 칼슘
(3) 혈액형
① ABO식
㉠ 적혈구에 있는 응집원으로 구분
㉡ 적혈구가 응집원 A를 가지면 A형, B를 가지면 B형, A와 B를 둘다 가지면 AB형, 아무런 응집원을 갖지 않으면 O형이다.
㉢ 각 형의 혈장 내에는 자기 응집원과 짝이 맞지 않는 응집소를 가짐 → A형(항B), B형(항A), O형(항A와 항B), AB형(응집소가 없다)
* O형은 응집원이 없기에 만능 공혈자, AB형은 응집소가 없기에 만능 수혈자
② Rh식
㉠ 적혈구에 Rh인자가 있느냐 없느냐로 구별(Rh(+), Rh(-))
㉡ 서양인은 약 15% 정도가 Rh음성이고 나머지 85%는 Rh양성. 한국인은 99.5%가 Rh양성, 0.5%가 Rh음성.
㉢ Rh인자는 붉은 털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 붉은 털 원숭이의 적혈구를 토끼에 혈청에 주사하면 Rh항체가 생김.
㉣ Rh양성 혈액을 Rh음성인 사람에게 반복 수혈하면 혈액내에 항Rh물질이 생겨 응고작용이 일어나므로 수혈 시 고려해야함.
* 수혈하기 전에 반드시 검사 - 혈액형 검사(ABO식, Rh식), 교차 시험검사
* ABO식 혈액형과 Rh형이 같은 형끼리 수혈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 태아 적아구증 : Rh양성 아빠 또는 Rh양성 태아와 Rh음성 엄마일 때 발생
(1) 심장의 기능
① 심장 전도계통 : 동방결절 → 방실결절 → 히스속(방실속) → 퍼킨제 섬유
㉠ 전기적 자극 → 심장근육의 수축작용
㉡ 동방결절 : 우심장의 상대정맥이 열리는 곳 바로 옆에 위치. 분당 60~80회의 전기 자극을 일으킴. 전기 자극의 시작은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심장의 한 부분에서 자율적으로 일어나 심장 전체에 퍼짐 →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음
㉢ 심전도(EKG, ECG) : 심근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신체 표면에 전극을 부착해 기록한 것
② 심장박동
㉠ 정상인의 심장박동 : 60~100회/분 → 동방결절의 전도횟수와 일치
㉡ 심장의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심장박동이라 하며, 교감신경 흥분 시 증가, 체온상승이나 갑상샘 호르몬 증가 시에도 심장박동수 증가
㉢ 심박출량 :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박출되는 분당 혈액량
* 정상 심박출량 : 4,200~5,600ml → 1회 박출량 : 약 70ml
* 맥박 : 심장의 주기적인 박동을 피부 가까운 동맥에서 느끼는 것
* 혈압 : 혈액의 압력(정상 - 120/80mmHg) → 수축기압(최고혈압)/이완기압(최저혈압)으로 수축기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대동맥을 통해 각 혈관으로 보내는 혈압이고, 이완기압은 혈액이 전신을 돌아 심장으로 돌아올 때 심장이 확장되어 나타나는 혈압이다.
(2) 심장의 형태
① 길이 12cm, 폭 8cm, 두께 6cm정도로 대체로 자기 주먹만 하며 무게는 300g 전후.
② 원뿔형으로 폐와 흉곽 사이인 왼쪽 흉부의 제5늑간 부위에 위치. 정중선에서 약 2/3 좌측에 위치.
③ 온몸에 동맥혈액을 공급하는 펌프역할.
(3) 심장벽
㉠ 혈액을 박출해내는 펌프 작용에 적합하도록 매우 두꺼운 심장근육으로 되어있음.
㉡ 좌심실벽은 대동맥을 통하여 전신에 혈액을 보내므로 높은 압력에 견디는 가장 두꺼운 벽으로 되어있음. 우심실벽보다 3배 더 두꺼움.
㉢ 싱장은 안에서부터 밖으로 심내막, 심근층, 심외막으로 구성되며 심장전체를 섬유성막(심막, 심낭)이 감싸고 있다. 심막강(심막안)에는 심남액이 들어 있어 심장이 박동할 때 마찰을 방지하는 윤활유 역할을 한다.
(4) 심장의 구성
① 4개의 방 : 좌심방, 좌심실(가장 두꺼운 근육), 우심방, 우심실
② 4개의 판막 : 혈액의 역류방지
㉠ 삼첨판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 이첨판(승모판)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 폐동맥판막 :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
㉣ 대동맥판막 :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5) 혈액순환
① 채순환(대순환) : 좌심실 → 대동맥 → 전신(모세혈관) → 대정맥 → 우심방
② 폐순환(소순환) : 우심실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수축 → 대동맥 → 전신(모세혈관 : O₂↑, 혈액공급) → 비산화 혈액으로 바뀜(CO₂) → 대정맥 → 우심방 →우심실 → 폐동맥 → 폐(산화혈액으로 바뀜 : O₂) → 폐정맥 → 좌심방
(1) 동맥
① 심장에서 말초로 가는 혈관
② 압력이 높아 탄력 섬유 발달
③ 내막, 중간막, 외막의 3층으로 구성. 대동맥의 직경은 약 3cm, 소동맥은 약 0.3mm 정도.
④ 관상동맥 : 심장에 영양공급과 가스교환을 담당하는 동맥
(2) 모세혈관
① 소동맥과 소정맥을 연결하는 가는 혈관
② 얇은 단일층으로만 되어 있어 산소나 영양분은 쉽게 조직 속으로 통과되고 조직 내의 탄산가스나 노폐물이 쉽게 혈액 내로 옮겨진다.
(3) 정맥
① 말초로부터 심장으로 귀환하는 혈관
② 벽이 얇고 내강이 넓다 → 70% 혈액 수용(용량 혈관)
③ 정맥판(역류방지)가 있어 판막발달 → 하지정맥에 많고 CO₂↑. 혈액이 중력을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 다시 말초로 돌아가지 못하게 함.
④ 동맥에 비해 표층을 지나는데 피부를 통해 쉽게 노출되므로 정맥주사 부위이다.
* 간문맥 : 소화관의 모세혈관에서 정맥혈이 모여 이루어진 중요한 단일정맥으로 소화관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을 간으로 운반한다
* 상대정맥 : 두부, 흉부, 상지의 정맥이 만나 심방으로 들어오는 혈관
* 하대정맥 : 복강과 하지에 있는 정맥혈을 모아 심방으로 돌아오는 혈관
① 림프계는 조직에서 액체 성분을 정맥계를 통해 심장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맡고 있지만 혈관계와는 전혀 다른 계통.
② 말단에서 심장으로 가는 일방적인 통로.
③ 림프계의 중요한 기능 : 조직액을 여과시켜 혈액 내로 귀환. 소장에서의 특별한 림프관(암죽관)은 지방,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함. 림프구를 생산하고, 세균이나 기타 이물질에 대한 식균작용 및 특수 면역작용을 통해 신체 방어작용을 함.
(1) 림프 : 적혈구와 혈소판이 거의 없는 혈액의 삼출물로 혈장 성분과 비슷하나 림프구가 많은 맑고 투명한 액체.
(2) 림프관
① 림프액이 흐르는 벽이 얇고 판막이 있는 관
② 혈관계통에서와 같은 동맥계는 없고 상대정맥을 통해 흘러들어가는 일방적인 통로.
③ 말단조직, 막힌관(맹관), 모세림프관에서 시작되며 우림프관과 흉관을 통해 정맥계로 유입
(3) 림프기관
① 림프절(림프샘, 임파선)
㉠ 작은 림프조직의 덩어리(림프가 모여 있는 곳)
㉡ 목 옆, 겨드랑이, 서혜부, 복대동맥
㉢ 림프 속의 유해물질을 걸러 제거하고 식작용으로 신체를 방어하며 림프구 생산
② 비장
㉠ 인체에서 가장 큰 림프기관
㉡ 복강의 좌측상부(LUQ) 즉 위 뒤쪽, 횡격막 밑에 위치. 검붉은 타원형. 길이 10cm.
㉢ 림프구 생산, 수명이 다한 적혈구를 파괴 및 적혈구의 저장, 항체생산, 식작용 등
③ 흉선
㉠ 흉골병 바로 뒤 그리고 갑상샘 아래쪽 상부흉곽에 위치하는 납작한 림프기관
㉡ 태생기와 유아기에는 매우 크지만 사춘기 이후 점점 퇴화하여 작은 흉선조직만 남게 된다
㉢ 림프구의 생산 및 항체 생산(면역기능)
④ 편도
㉠ 목 안, 코 뒷부분에 위치한 기관
㉡ 림프구가 풍부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면역기능 수행
(4) 면역 : 몸 속에 들어온 병원미생물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산하여 감염성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능력.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파괴하고, 저항력을 기르고, 장기이식이나 수혈에 대한 거부나 수용반응을 일으키고 악성세포의 증식을 막고 예방한다.
① 항원과 항체
㉠ 항원 : 세포를 알려주는 화학적 표식인자 → 모든 세포는 항원을 가지고 있다
㉡ 항체 : 항원에 반응해서 혈장에 생성되는 단백질
㉢ 어떤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우리 몸은 항체를 만들고 이것은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일으켜 항원을 제거하고 그 항원에 대한 면역을 획득.
② 면역의 형태
면역 |
선천 | 유전적으로 획득된 면역.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 | ||
후천 | 능동 | 자연 | 앓고 나서 생긴 면역 | |
인공 | 예방접종 | |||
수동 | 자연 | 엄마에게서 온 면역 | ||
인공 | 면역글로불린, 항체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호흡기계 (0) | 2022.07.27 |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위장관계 (0) | 2022.07.27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근육계 (0) | 2022.07.26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골격계 (0) | 2022.07.26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인체의 구성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