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위장관계

간호조무사/기초간호학

by gleamingmoons 2022. 7. 27. 16:00

본문

반응형

 

 


위장관계(소화기계)


 

① 소화 :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여 영양뷴을 흡수하기 쉬운형태로 변화시키는 작용

② 소화관 : 구강 → 인두 → 식도 → 위 → 소장(십이지장 → 공장 → 회장) → 대장(맹장 → 결장 → 직장) → 항문

③ 소화 부속기관 : 타액선, 간, 췌장, 담낭

④ 위장관계통의 생리 : 섭취(음식물) → 이동 → 소화 → 흡수(영양분, 수분 재흡수) → 배설(노폐물)

* 물리적 소화운동 - 저작운동(구강), 연하운동(구강, 인두), 연동운동(식도에서 직장까지 음식을 아래로 내려 보내는 운동), 분절운동(소장에서 더 잘게 부수고 소화효소와 섞는 운동)

 

 


위장관


 

(1) 입 : 소화관의 첫 부분. 바깥으로 보이는 입술과 속의 구강을 모두 합쳐서 부르는 이름. 입안은 작은 점액분비샘을 가지고 있는 중층편평상피로 구성.

 

① 혀

㉠ 혀의 유두 : 미뢰라고 하는 미각 담당 세포들이 모여 맛을 느낌

㉡ 노인이 되면 짠맛↓, 쓴맛과 신맛↑

㉢ 목젖(구개수) : 음식물을 삼킬 때 음식물이 코(비강)으로 넘어가는 것 방지

 

② 치아

㉠ 유치 : 6개월에 처음 나기 시작. 30개월에 총 20개 완성

㉡ 영구치 : 6세에 처음 나기 시작. 사랑니를 제외한 28개는 14~15세에 완성. 사랑니를 포함한 32개는 18세에 완성.

㉢ 소구치와 대구치는 음식물을 으깨고 씹는 기능. 앞니(절치)와 송곳니(견치)는 음식물을 조각 내는데 사용. 치아는 몸안에서 가장 단단하다.

 

③ 침샘

㉠ 하루에 1.5L 생산. 물, 무기염류, 타액 아밀라제(프티알린), 점액 리소자임, 면역글로불린 및 혈액응고인자 등으로 구성.

* 소화효소 : 아밀라제(프티알린(탄수화물 소화 - 전분 → 맥아당으로 분해)) ∴ 구강은 탄수화물의 소화가 시작되는 곳

㉡ 침의 생리적 기능 : 윤활작용, 청결작용, 비특이적 방어, 체온조절작용 및 수분대사 조절 기능

㉢ 침 분비는 부교감 신경계의 반응 → 음식을 보면 침 분비↑ 스트레스 상황에서 침 분비 ↓

㉣ 대타액선 : 이하선(귀밑샘) →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소타액선 : 악하선(턱밑샘), 설하선(혀밑샘)

 

(2) 인두 : 음식물과 공기의 공동통로

 

① 비인두(호흡), 구인두(호흡, 소화), 후두인두(호흡, 소화)로 구분.

㉠ 음식물 : 구인두 → 후두인두 → 식도

㉡ 공기 : 비인두·구인두 → 후두인두 → 후두

② 후두개 : 열려 있다가 음식물을 삼킬 때 닫혀서 음식물이 호흡기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

③ 인두에서는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하반사를 통해 음식물이 후두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3) 식도

 

① 길이 약 25cm의 근육성 장기. 기관 뒤와 척주 앞 가슴 부위 가운데에 위치.

② 인두에서 위까지 연동운동으로 음식물 및 수분을 운반. 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③ 식도는 생리적으로 좁아져 있는 부위인 생리적 협착이 3군데 있다. 음식물 통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이무질이나 다른 병변이 생길 경우에는 이 부위가 가장 먼저 좁아짐.

 

(4) 위

 

① 소화관 중에서 가장 팽대한 부분으로 전체적인 모양이 대략 J자 모양에 용적은 약 1.5L정도. 좌상복부에 위치.

② 분문 괄약근(위의 입구), 유문 괄약근(위의 출구)

③ 기능

㉠ 분비물 생산

· 하루 3L정도

· 점액질(뮤신), HCI(염산), 펩신(단백질소화), 등의 위액을 분비해 본격적인 소화의 첫 단계 수행

· 부교감 신경의 일부인 미주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미주신경의 자극으로 위선분비를 증가시킴.

* 구강 : 프티알렌 - 탄수화물소화 / 위 : 펩신 - 단백질 소화

㉡ 음식물을 잠시 보관, 본격적인 소화의 첫 단계

㉢ 흡수 기능 : 오직 당분, 알코올만 흡수하고 나머지는 소장으로 보내 다음 단계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

㉣ 위 벽 세포에서 내적 인자 분비 → 비타민 B𝟷𝟸를 흡수

* 비타민 B𝟷𝟸 부족 : 악성 빈혈

* 점액 : 위 점막을 위산으로부터 보호

 

(5) 소장(십이지장 → 공장 → 회장)

 

① 길이 약 6~7m. 대장에 비해 길이가 길고 직경이 가늘다. 유문에서 8~10cm되는 곳에 큰 십이지장 유두가 있다. 영양분흡수. 융모와 횡주름이 있다. 회장쪽으로 갈수록 횡주름과 융모의 수는 줄고 림프소절이 나타난다.

② 소장에서 일어나는 소화운동 : 연동운동, 분절운동

③ 소화 효소 분비 : 에렙신(단백질), 슈크라제, 말타제, 락타제(탄수화물)

* 십이지장 : 총담관, 췌관이 공동으로 열려 담즙, 췌장액이 분비되어 합류 → 많은 소화효소의 도움으로 대부분의 소화와 흡수는 십이지장에서 일어남. C자형(말굽모양) 25cm.

* 융모 :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은 대장으로 보낸다.

* 회맹판 괄약근 : 맹장의 내용물이 회장으로 역류하는 것 방지

 

(6) 대장(맹장 → 결장 → 직장)

 

① 길이 1.5m로 소장에 비해 길이가 짧고 직경이 굵다.

② 융모가 없으며 결장띠, 경장팽기, 복막수를 가지고 있다.

③ 소화효소의 분비×

④기능

㉠ 수분과 약간의 전해질 흡수(융모×) → 변의 형태를 만들어 항문으로 보냄

㉡ 장 박테리아(대장균)에 의해 비타민 K, 몇 종류 비타민 B군을 합성

⑤ 맹장 → 결장 → 직장

㉠ 맹장

· 충수돌기 → 맹장의 끝부분에 가늘고 길게 늘어져 있는 것

· 맥버니 포인트 : 배꼽과 우측 장골극 부위 연결 → 아래 1/3 지점으로 충수염 진단부위(반동성 압통)

· 충수염 : 혈구 중 백혈구의 수가 증가

㉡ 결장 : 상행결장 → 횡행결장 → 하행결장 → S상결장

㉢ 직장 : 변의를 느끼는 부위

* 직장은 남성에서는 방광의 뒤, 여성에서는 자궁과 질의 뒤에 있다.

 

(7) 항문관 : 직장에서 몸 밖으로 열려져 있는 길이 4cm 가량의 짧은 관. 괄약근으로 덮여 있어 개구 작용 용이. 

* 직장 팽대부 : 항문관 위쪽에서 내용물이 차 있을 때 팽창하는 곳.

 

 


위장관의 부속기관


 

(1) 간

 

① 인체에서 가장 큰 분비기관으로 무게 약 1.6kg 정도. 횡격막 바로 아래 복강의 위오른쪽(우상복부)에 치우쳐 있으며 갈비뼈에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음.

② 간의 기능

㉠ 탄수화물 대사(혈장의 포도당유지), 지방 대사, 단백질 대사(아미노산(단백질 기본구성단위)으로부터 알부민, 응고인자 등 물질을 합성 → 아미노산의 찌거기인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 → 신장에서 배설)

㉡ 적혈구 분해와 미생물에 대한 방어

* 쿠퍼세포 : 간을 통해 순환하는 병원체나 이물질 식균, 해로운 물질을 해독.

㉢ 약물과 유해물질의 해독

㉣ 열생산, 혈액응고인자 생산(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 담즙(쓸개집) 분비 : 지방소화(소장의 십이지장에서 지방소화 시작).

* 담즙은 쓸개즙색소(빌리루빈), 쓸개즙염, 콜레스테롤, 무기염류 등으로 구성. 지용성 비타민 흡수를 촉진.

㉥ 물질저장 : 글리코겐(당원질),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 B𝟷𝟸, 철분 등 저장

㉧ 외분비작용 : 간은 담즙(빌리루빈과 콜레스테롤 등)을 담낭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하여 대장으로 배설

㉨ 태생기 때 혈구 생산

 

(2) 담낭(쓸개) : 서양배 모양의 기관. 간 아래에 위치한 속이 빈 근육성 낭. 담즙(지방소화) 5배로 농축·저장

 

(3) 췌장

 

① 복강에 위치하는 외분비선이며 내분비선

② 췌장머리, 췌장목, 췌장몸통 및 췌장꼬리로 구성

③ 소화효소 분비

㉠ 약 알칼리성의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등 소화효소 분비

㉡ 아밀라아제(탄수화물 소화), 트립신(단백질 소화), 리파아제(지방소화)

④ 호르몬 분비

㉠ 인슐린, 글루카곤

㉡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알파세포에서 글루카곤(혈당↑), 베타세포에서 인슐린(혈당↓)

 

* 소화효소 및 작용

기관 소화액 소화효소 음식산물
침샘 침(타액) 프티알린 탄수화물
위액 펩신 단백질
소장 장액 에렙신
인베르티아제
말타아제
락타아제
펩톤
서당
맥아당
유당
담즙 담즙염 지방
췌장 췌장액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