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소화 :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여 영양뷴을 흡수하기 쉬운형태로 변화시키는 작용
② 소화관 : 구강 → 인두 → 식도 → 위 → 소장(십이지장 → 공장 → 회장) → 대장(맹장 → 결장 → 직장) → 항문
③ 소화 부속기관 : 타액선, 간, 췌장, 담낭
④ 위장관계통의 생리 : 섭취(음식물) → 이동 → 소화 → 흡수(영양분, 수분 재흡수) → 배설(노폐물)
* 물리적 소화운동 - 저작운동(구강), 연하운동(구강, 인두), 연동운동(식도에서 직장까지 음식을 아래로 내려 보내는 운동), 분절운동(소장에서 더 잘게 부수고 소화효소와 섞는 운동)
(1) 입 : 소화관의 첫 부분. 바깥으로 보이는 입술과 속의 구강을 모두 합쳐서 부르는 이름. 입안은 작은 점액분비샘을 가지고 있는 중층편평상피로 구성.
① 혀
㉠ 혀의 유두 : 미뢰라고 하는 미각 담당 세포들이 모여 맛을 느낌
㉡ 노인이 되면 짠맛↓, 쓴맛과 신맛↑
㉢ 목젖(구개수) : 음식물을 삼킬 때 음식물이 코(비강)으로 넘어가는 것 방지
② 치아
㉠ 유치 : 6개월에 처음 나기 시작. 30개월에 총 20개 완성
㉡ 영구치 : 6세에 처음 나기 시작. 사랑니를 제외한 28개는 14~15세에 완성. 사랑니를 포함한 32개는 18세에 완성.
㉢ 소구치와 대구치는 음식물을 으깨고 씹는 기능. 앞니(절치)와 송곳니(견치)는 음식물을 조각 내는데 사용. 치아는 몸안에서 가장 단단하다.
③ 침샘
㉠ 하루에 1.5L 생산. 물, 무기염류, 타액 아밀라제(프티알린), 점액 리소자임, 면역글로불린 및 혈액응고인자 등으로 구성.
* 소화효소 : 아밀라제(프티알린(탄수화물 소화 - 전분 → 맥아당으로 분해)) ∴ 구강은 탄수화물의 소화가 시작되는 곳
㉡ 침의 생리적 기능 : 윤활작용, 청결작용, 비특이적 방어, 체온조절작용 및 수분대사 조절 기능
㉢ 침 분비는 부교감 신경계의 반응 → 음식을 보면 침 분비↑ 스트레스 상황에서 침 분비 ↓
㉣ 대타액선 : 이하선(귀밑샘) →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소타액선 : 악하선(턱밑샘), 설하선(혀밑샘)
(2) 인두 : 음식물과 공기의 공동통로
① 비인두(호흡), 구인두(호흡, 소화), 후두인두(호흡, 소화)로 구분.
㉠ 음식물 : 구인두 → 후두인두 → 식도
㉡ 공기 : 비인두·구인두 → 후두인두 → 후두
② 후두개 : 열려 있다가 음식물을 삼킬 때 닫혀서 음식물이 호흡기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
③ 인두에서는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연하반사를 통해 음식물이 후두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3) 식도
① 길이 약 25cm의 근육성 장기. 기관 뒤와 척주 앞 가슴 부위 가운데에 위치.
② 인두에서 위까지 연동운동으로 음식물 및 수분을 운반. 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③ 식도는 생리적으로 좁아져 있는 부위인 생리적 협착이 3군데 있다. 음식물 통과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나 이무질이나 다른 병변이 생길 경우에는 이 부위가 가장 먼저 좁아짐.
(4) 위
① 소화관 중에서 가장 팽대한 부분으로 전체적인 모양이 대략 J자 모양에 용적은 약 1.5L정도. 좌상복부에 위치.
② 분문 괄약근(위의 입구), 유문 괄약근(위의 출구)
③ 기능
㉠ 분비물 생산
· 하루 3L정도
· 점액질(뮤신), HCI(염산), 펩신(단백질소화), 등의 위액을 분비해 본격적인 소화의 첫 단계 수행
· 부교감 신경의 일부인 미주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미주신경의 자극으로 위선분비를 증가시킴.
* 구강 : 프티알렌 - 탄수화물소화 / 위 : 펩신 - 단백질 소화
㉡ 음식물을 잠시 보관, 본격적인 소화의 첫 단계
㉢ 흡수 기능 : 오직 당분, 알코올만 흡수하고 나머지는 소장으로 보내 다음 단계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함.
㉣ 위 벽 세포에서 내적 인자 분비 → 비타민 B𝟷𝟸를 흡수
* 비타민 B𝟷𝟸 부족 : 악성 빈혈
* 점액 : 위 점막을 위산으로부터 보호
(5) 소장(십이지장 → 공장 → 회장)
① 길이 약 6~7m. 대장에 비해 길이가 길고 직경이 가늘다. 유문에서 8~10cm되는 곳에 큰 십이지장 유두가 있다. 영양분흡수. 융모와 횡주름이 있다. 회장쪽으로 갈수록 횡주름과 융모의 수는 줄고 림프소절이 나타난다.
② 소장에서 일어나는 소화운동 : 연동운동, 분절운동
③ 소화 효소 분비 : 에렙신(단백질), 슈크라제, 말타제, 락타제(탄수화물)
* 십이지장 : 총담관, 췌관이 공동으로 열려 담즙, 췌장액이 분비되어 합류 → 많은 소화효소의 도움으로 대부분의 소화와 흡수는 십이지장에서 일어남. C자형(말굽모양) 25cm.
* 융모 :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은 대장으로 보낸다.
* 회맹판 괄약근 : 맹장의 내용물이 회장으로 역류하는 것 방지
(6) 대장(맹장 → 결장 → 직장)
① 길이 1.5m로 소장에 비해 길이가 짧고 직경이 굵다.
② 융모가 없으며 결장띠, 경장팽기, 복막수를 가지고 있다.
③ 소화효소의 분비×
④기능
㉠ 수분과 약간의 전해질 흡수(융모×) → 변의 형태를 만들어 항문으로 보냄
㉡ 장 박테리아(대장균)에 의해 비타민 K, 몇 종류 비타민 B군을 합성
⑤ 맹장 → 결장 → 직장
㉠ 맹장
· 충수돌기 → 맹장의 끝부분에 가늘고 길게 늘어져 있는 것
· 맥버니 포인트 : 배꼽과 우측 장골극 부위 연결 → 아래 1/3 지점으로 충수염 진단부위(반동성 압통)
· 충수염 : 혈구 중 백혈구의 수가 증가
㉡ 결장 : 상행결장 → 횡행결장 → 하행결장 → S상결장
㉢ 직장 : 변의를 느끼는 부위
* 직장은 남성에서는 방광의 뒤, 여성에서는 자궁과 질의 뒤에 있다.
(7) 항문관 : 직장에서 몸 밖으로 열려져 있는 길이 4cm 가량의 짧은 관. 괄약근으로 덮여 있어 개구 작용 용이.
* 직장 팽대부 : 항문관 위쪽에서 내용물이 차 있을 때 팽창하는 곳.
(1) 간
① 인체에서 가장 큰 분비기관으로 무게 약 1.6kg 정도. 횡격막 바로 아래 복강의 위오른쪽(우상복부)에 치우쳐 있으며 갈비뼈에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음.
② 간의 기능
㉠ 탄수화물 대사(혈장의 포도당유지), 지방 대사, 단백질 대사(아미노산(단백질 기본구성단위)으로부터 알부민, 응고인자 등 물질을 합성 → 아미노산의 찌거기인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 → 신장에서 배설)
㉡ 적혈구 분해와 미생물에 대한 방어
* 쿠퍼세포 : 간을 통해 순환하는 병원체나 이물질 식균, 해로운 물질을 해독.
㉢ 약물과 유해물질의 해독
㉣ 열생산, 혈액응고인자 생산(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 담즙(쓸개집) 분비 : 지방소화(소장의 십이지장에서 지방소화 시작).
* 담즙은 쓸개즙색소(빌리루빈), 쓸개즙염, 콜레스테롤, 무기염류 등으로 구성. 지용성 비타민 흡수를 촉진.
㉥ 물질저장 : 글리코겐(당원질),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 B𝟷𝟸, 철분 등 저장
㉧ 외분비작용 : 간은 담즙(빌리루빈과 콜레스테롤 등)을 담낭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하여 대장으로 배설
㉨ 태생기 때 혈구 생산
(2) 담낭(쓸개) : 서양배 모양의 기관. 간 아래에 위치한 속이 빈 근육성 낭. 담즙(지방소화) 5배로 농축·저장
(3) 췌장
① 복강에 위치하는 외분비선이며 내분비선
② 췌장머리, 췌장목, 췌장몸통 및 췌장꼬리로 구성
③ 소화효소 분비
㉠ 약 알칼리성의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등 소화효소 분비
㉡ 아밀라아제(탄수화물 소화), 트립신(단백질 소화), 리파아제(지방소화)
④ 호르몬 분비
㉠ 인슐린, 글루카곤
㉡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알파세포에서 글루카곤(혈당↑), 베타세포에서 인슐린(혈당↓)
* 소화효소 및 작용
기관 | 소화액 | 소화효소 | 음식산물 |
침샘 | 침(타액) | 프티알린 | 탄수화물 |
위 | 위액 | 펩신 | 단백질 |
소장 | 장액 | 에렙신 인베르티아제 말타아제 락타아제 |
펩톤 서당 맥아당 유당 |
간 | 담즙 | 담즙염 | 지방 |
췌장 | 췌장액 | 아밀라아제 트립신 리파아제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비뇨기계 (0) | 2022.07.27 |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호흡기계 (0) | 2022.07.27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순환기계 (0) | 2022.07.27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근육계 (0) | 2022.07.26 |
[기초간호학] 기초해부생리 - 골격계 (0) | 2022.07.26 |